한국어
베스트 게시판

안녕하세요.



아래 글 중 하나에 노드 수가 늘어나면 어떤 부분이 좋은 건가요? 라는 질문에



댓글 보다는 글로 적는 게 나을 거 같아 이렇게 써봅니다.



 



P.S 우선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에 앞서 제가 알고 있는 지식이 그렇게 깊지는 않아



전문가 분들이 보셨을 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은 댓글로 바로 잡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 노드 수가 늘어나면 뭐가 좋은건가요?



 



이 부분을 설명하려면 블록체인에 대해 전반적인 기본 부분들은 어느 정도 이해해야 하는데요.



부연설명까지 하자면 너무 길어지기에 짧게 짧게 단락 단락 얘기하겠습니다.



 



1. 블록체인이 무엇인가



=> 기존 중앙집중화 데이터의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타남(보안, 정보 독점 남용 등)



 



2. 문제를 어떻게 해결한건가



=> 데이터가 한 곳이 아닌 그것(비트코인, 이더리움 등등)을 취급하는 사용자들. 여러 사람들이 공유함으로



데이터의 탈중앙화를 이루어내고, 위변조를 하기 어렵게 함.



 



3. POW(Proof of work)는 무엇인가



 



=> 블록체인에서 일어나는 작업을 증명(채굴). 수학적인 연산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채굴자는 CPU및 그래픽카드 등



연산 능력이 높은 장비를 동원해서 해당 작업을 진행해야 함. 이 장비들의 연산능력을 해시 파워(Hash Power)라고 함.



해시 파워가 높아야 채굴이 빠르게 이루어짐.



당연한 말이지만 해시파워를 높이려면 장비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아니면 여러 대의 장비를 가동하거나 해야함.



이로 인해 극심한 전력 소모가 이루어지고,



대표 채굴업체인 비트메인의 경우 1일 전기료만 한화로 5,500만원에 달한다고 함.



 



여기서 생기는 POW 방식의 문제가 '일반인이 참여가 어렵다'는 것.



하루 수백만원의 전기료를 감당하며 채굴기를 돌릴 일반인이 어딨겠는가.



그렇다고 어중간한 해시파워로 채굴을 해봐야 저런 거대 채굴업체와 게임이 되지 않음.



 



그러므로 큰 자금력을 보유한 채굴업체들만이 POW 코인들에 참여가 가능하고.



탈중앙화를 하자고 만든 블록체인인데 소수의 대형업체들이 한 코인의 대부분을 좌지우지함.



 



최근 일어나는 비트코인 골드, 버지 등의 POW 방식 코인 해킹 문제가 바로 위와 같은 것임.



 



POW 방식은 전체 해시 파워의 51프로를 한 사용자가 쥐게 되면 해킹이 가능함.



전체 해시파워가 크면 클수록 해킹이 불가능(비트코인 같이)



 



하지만 상대적으로 전체 해시 파워가 낮은 애들은 자금력이 어느정도 뒷받침되는 세력이 있다면 충분이 조작이 가능.



이래서 현재 POW 방식에 대한 문제가 많다는 점.



 



그래서 비탈릭도 이더리움을 POS로 전환하려고 하는 것.



 



4. 그럼 POS(Proof of stake)는 무엇인가?



 



=> 지분 증명 방식.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지갑'(노드)에 코인을 단 1개만 넣어도 이 지분을 증명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지분을 증명하면 되기 때문에 수학적인 연산을 안해도 되어 전력소모가 거의 없다.



이로 인해 일반인들의 참여도 쉽다.



 



각각의 노드가 블록체인에서 일어난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방식의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전체 노드의 대부분을 동시에 조작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참여 노드가 많으면 많을수록 POS 방식의 코인은 해킹이 불가능에 가까워진다고 볼 수 있다.'



 



 



 



 



 



 



 



===============여기까지입니다.



 



잘못 알고 있는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 원래 이 시장은요 [21] 심슨 2018.03.09 616
172 퀀텀 커뮤니티 제일 악질이 어떤 유형인줄 아세요? [24] 퀀텀의미래 2018.03.09 533
171 x86 vm과 Pos로 본 미래 [32] 꾸떰이 2018.03.10 800
170 저번에 중국 규제풀리니 뭐니 하면서 글올리시길래 [25] 키니쿠 2018.03.11 638
169 오랜만에 와봤더니 분위기가... [13] 성캐 2018.03.12 589
168 3월 12일 패트릭 말말말 [23] title: 퀀텀아이콘뿌뿌뿜 2018.03.13 1323
167 글 올립니다 (코인판가즈아 !!) [18] 블루진 2018.03.13 880
166 익절하고 그 동안 들거웠습니다. [25] 키니쿠 2018.03.15 676
165 저흰 투자자입니다 [13] 심슨 2018.03.16 436
164 퀀텀 투자자를 걱정하시는 분들께~ [7] 라비스 2018.03.16 412
163 하락장에 엔돌핀 솟는글 [9] 신의아들 2018.03.17 735
162 퀀텀 홀더로서의 불안.. [20] 사자아저씨 2018.03.17 982
161 하락과 관련된 예측이 욕먹는 이유 [15] 제리 2018.03.18 407
160 고층 물리신 분들, 선택지는 없습니다. [29] 램파드 2018.03.19 1064
159 유언.. [52] title: 스텔라쿵 캐리커쳐 #1미니이이 2018.03.19 1184
158 오랜만에 글 올리네요... 최근 퀀텀시세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추가) [28] 오뽀 2018.03.19 729
157 제가 차트관련 글을 올리는 이유입니다... [20] 오뽀 2018.03.20 537
156 퀀텀, 블록딜 체결의 가능성 [41] 에너고바라기 2018.03.21 1479
155 퀀텀 기업 버전(Qtum Enterprise version)에 대한 생각 [12] leekan 2018.03.23 734
154 건물사러 갑니다...(이제 나도 건물주...) [20] 오뽀 2018.03.23 1713

포인트랭킹

순위 닉네임 포인트
1위 title: 스텔라쿵 캐리커쳐 #1타이어 6940895점
2위 title: 퀀텀아이콘빵먹는곰돌이 6079844점
3위 슈퍼비트 6035800점
4위 지금감사 5822100점
5위 title: 스텔라쿵 캐리커쳐 #1미스릴 5741046점
6위 불꽃 5709800점
7위 title: 퀀텀아이콘봄이 5096550점
8위 밀키웨이 3047900점
9위 빵상 2975450점
10위 대바기 2728250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