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자유게시판

밀린 알바비를 동전으로 지급?

에너고바라기 2018.05.18 00:21 조회 수 : 623 추천:1

https://brunch.co.kr/@huski1136/93

 

밀린 알바비를 동전으로 지급?

 

http://m.news.naver.com/comment/list.nhn?gno=news057%2c0001250371&aid=0001250371&mode=LSD&oid=057&sid1=102&backUrl=%2ftvMainNews.nhn%3fpage%3d1&light=off

포천의 한 볼링장에서 밀린 알바비를 요구하자 100원 짜리 동전으로 지급했다는 뉴스다.

당연히 갑질 논란으로 위 기사에 대한 비난 여론은 뜨거웠다.

아마 여러분도 이 뉴스를 봤다면 당연하게도 볼링장 사장의 갑질을 욕하고 있을 것 이다.

 

그러나 동전도 엄연한 법정화폐 이므로 알바비 금액만 정확하다면 동전으로 지불하는 것 자체가 불법은 아닐텐데 그럼에도 사람들은 동전으로 지불하는 것을 갑질로 인식하고 거부감을 느끼는 것 일까?

그 이유는 일단 무겁고 추가로 액수를 확인하는 노동력이 필요해서 일테다.

 

그러나 사실 자신의 불만을 동전 지급으로 표시하는 건 새삼 새로운 것 도 아니다.

이미 눈치 챘겠지만 위 뉴스를 가져온건 위 갑질에 대해 같이 성토하자는 뜻이 당연히 아니다.

 

그렇다면 왜 굳이 위 뉴스를 공유하는가?

혹시 '세뇨리지 효과'라고 들어보았는가?

 

이는 화폐 주조로 얻는 이익을 말하는데, 찍어낸 통화의 액면가에서 통화주조 원가를 뺀 만큼의 차익을 통화발행 주체가 얻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국가가 동전을 발행하면 세뇨리지 효과 유지를 위해 액면가 보다 생산 단가가 더 저렴해야 하는데, 요즘은 동전의 원료가 되는 원자재 가격의 급등락으로 인해 오히려 종종 역세뇨리지 효과가 발생한다. 

 

즉, 생산비용이 액면가보다 비싸다는 이야기다.

 

그러니 여러분이 정부라면 어떻게 하겠는가? 

역세뇨리지 효과가 심화되고 지속되면 똑똑한 개인들은 동전을 돈으로 사용하는게 아니라 그냥 간단히 녹여버린다.

 

예전 구리가격이 폭등했을 당시 옛날 10원 짜리에 함유된 구리 순도가 높아 액면가보다 녹였을 때 가치가 월등히 높아지자 10원 동전 5천만개를 녹여 5억을 12억으로 뻥 튀기는 연금술사도 존재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01018000036&md=20101018081949_BL

당시 문제를 인식한 정부가 부랴부랴 신형 10원 짜리를 도입한 뒤 부터는 더이상 10원 동전을 녹이는 이가 없어 졌지만 위 사례가 보여주는것은 결코 가볍지 않다.

 

현재 100원 동전의 재료 단가는 액면가의 약 60% 수준이지만 구리 75%, 니켈 25%로 구성된 만큼

전기차 수요의 급증으로 최근 니켈의 가격이 폭등하고 있고 구리 가격의 변동성도 상당히 높은 만큼 

100원 동전 재료 단가가 액면가 보다 높아질 경우 또 한번 100원 동전을 녹여서 동괴와 니켈괴를 만드는 새로운 연금술사가 미래에 등장하지 말란 법도 없다.

 

그렇다 보니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는 아예 동전 없는 사회를 추진하고 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430_0000295528&cID=10401&pID=10400

물론 그 명분으로는 카드 이용의 급증으로 인해 동전 사용률이 감소한 것을 꼽고 있지만,

인플레이션에 의한 통화가치 하락과 원자재 가격의 급등으로 멜팅 포인트가 또다시 넘어설까 노심초사하는 정부의 깊은 속뜻이 담긴 것 이다.

 

그런데 역사를 거슬러 과거를 보면 동전에 대한 통화발행 권력의 고민은 현 정부만 가진 문제는 아니다. 

금,은,동화를 사용했던 로마시절, 백성들은 금의 테두리를 사포로 갈아 금가루를 모아 금화의 금을 빼돌렸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대의 금은화 테두리에도 현재의 동전 테두리 처럼 오돌토돌한 형태로 만들었다.

 

그리고 요즘 시대 정부가 막대한 국채 발행과 돈의 인쇄로 인위적 인플레이션을 발생시켜 통화가치 하락을 이끌듯이, 고대의 왕국들 역시 금 은화에 구리를 섞는 방법으로 금과 은화의 순도를 점차 낮춰 금은화 발행량을 늘리는 양적완화를 단행했다.

 

2008년 이래로 지속된 양적완화 덕택에 모든 물가는 살인적으로 치솟았고 특히 부동산의 가격은 천정부지로 올랐듯, 고대 로마시대에도 금과 은화 순도를 낮추는 방식의 양적완화가 이어지자 물가가 급등해 경제가 마비되고 시장에서 순도낮은 돈을 피하는 현상까지 발생했다.

 

불과 100 여년 전 한반도에서도 '당백전'으로 대표되는 조선방식의 양적완화로 인해 당시 물가가 폭등했음은 역사교과서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통화 권력이 의도적으로 돈의 양을 늘리는 양적완화를 단행하면 시장에서는 그레셤의 법칙이 발생하는데,

(그레셤의 법칙이란 악화(Bad Money)가 양화(Good Money)를 구축한다는 것을 뜻한다)

시장참여자들은 생각보다 똑똑해서 순도 낮은 금화와 순도 높은 금화가 있으면 순도 낮은 금화를 우선 사용하고 순도 높은 금화는 사용하지 않고 숨겨두는 현상을 이야기 한다.

 

실제로 통화가치 하락 속도가 엄청난 아르헨티나의 경우 부동산을 매매 할때 조차 자국의 화폐인 페소화 보다 달러화 거래가 대부분이라고 하니 지금도 그레셤의 법칙은 세계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다.

 

그런데 여전히 굳건한 원화의 가치 덕분에 아르헨티나, 브라질, 터키 등 제 3세계 국가들이 현재 겪고 있는 신흥국 통화위기가 마치 남일인 것 처럼 느끼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테다.

 

그런데 천만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5/15/0200000000AKR20180515192251072.HTML?input=1195m

어제 골드만삭스가 발표한 우리나라를 비롯해 브라질, 칠레, 중국, 체코,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멕시코, 폴란드, 러시아, 필리핀, 태국, 터키 등 17개 신흥 국가를 대상으로한 최근 보고서에서

 

지난 2007년 이후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신흥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상당폭 감소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가 1%포인트 인상되면, 이른바 '신흥국 금융상황지수'(FCI)는 0.7%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얘기다.        

 

이 FCI가 1%포인트 상승하는 상황에서는 우리나라의 GDP가 향후 2년간 최대 0.6% 가까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17개국 가운데 가장 큰 하락 폭이다.

 

미국發 금리인상의 충격은 결코 남들의 이야기가 아닌 바로 우리들의 미래 라는 이야기다.

 

2008년 이후 이어진 양적완화 기조 속에 무려 10년 간 위험자산 불패 신화가 생겨났다.

역사상 최고의 레버리지를 활용한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에서 엄청난 버블이 생겨났고 중앙은행들의 무제한 국채 매입으로 인해 채권 시장의 기형적 버블도 지속 되었다.

 

모두가 저금리와 급등하는 자산의 버블에 취해 긴축에 대한 경계가 무너진 지금 날카로운 금리인상의 칼날이 우리를 향해 닥쳐오고 있다.

 

즉, 안전자산 시대의 귀환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큐바오(큐백x)Qrc20 코인 출금방법 [133] title: 퀀텀아이콘슈퍼스테이커 2021.02.24 1546
공지 [Q-helper] 퀀텀 코어의 수량이 맞지 않게 표시되는 오류 해결 방법 [1] title: 퀀텀아이콘슈퍼스테이커 2021.01.24 1129
공지 연이자 약5% 슈퍼스테이커 운영중입니다 수수료3%(0.5개당0.015개) [11] title: 퀀텀아이콘슈퍼스테이커 2020.12.15 4202
공지 글쓰기 레벨 안내입니다. [59] QTUM 2019.07.09 2237
6964 사람들말 너무 믿지마시고 판단은 본인이 하시길 [10] title: 퀀텀아이콘타임타임타임 2018.06.11 600
6963 하.. 패트릭이 중국인었는지 국적이어디었는지도 몰랐던 인간들 보아라.. [27] 감나무댁 2018.07.06 600
6962 패트릭 다이 "Bancor, 복잡한 시스템 구조가 사고 불렀다' title: 퀀텀아이콘껀텀 2018.07.10 600
6961 Qtum 커뮤니티 및 개발 업데이트 - 7 월 30 일 [6] title: 퀀텀아이콘퀀텀교주 2018.07.31 600
6960 Pos 열심히 돌리면 됩니다. 여러분!! [9] 흙수저두루미 2018.07.31 600
6959 아마존 관련 기사가 이번에 두번째인가요?? [2] bh큐텀 2018.10.17 600
6958 여행가따와서 진짜 오랜만에 왔는데 [8] 권재111 2018.11.23 600
6957 미국 SEC "반에크·솔리드X BTC ETF 승인 연기" [4] 불꽃 2019.05.21 600
6956 이번달은 채굴이 좀 저조하네요 Ronaldo 2021.10.24 600
6955 큐텀에 투자하는 이유 [3] title: 퀀텀아이콘San7Rain 2017.12.06 601
6954 다른 코인은 그동안 몇배가 올랐는데 [5] 다함께웃을수있게 2017.12.13 601
6953 소액이지만..오늘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ㅜㅜ [11] 가즈아아아아 2017.12.16 601
6952 유니오가 리뷰왕 김리뷰 파트너쉽을 맺었다네요. [2] 도넛 2018.04.02 601
6951 가장빠르게 블록 생성을 확인하는방법? [3] 큐텀로켓 2018.05.26 601
6950 허허 시원하게 꼴아박네요 [3] 저조도도 2018.06.29 601
6949 가격은 답이 없고, 재단은 더 답이 없고.. [5] title: 플레이코인 아이콘cryingout 2018.08.19 601
6948 고작 로드맵이 호재인 코인 [2] 패트릭다이 2018.08.19 601
6947 뭐 하나만 물어볼게요 [1] 쌍봉댁 2018.09.25 601
6946 자다가 일나서 잠시 보고 놀랬습니다~ [8] title: 퀀텀아이콘감자 2017.12.16 602
6945 수요일인데 코네는 아직도 pos 돌린걸 주지 않네요 [10] title: 우리다같이 스마일겨울아사랑해 2017.12.27 602

포인트랭킹

순위 닉네임 포인트
1위 title: 스텔라쿵 캐리커쳐 #1타이어 6928895점
2위 title: 퀀텀아이콘빵먹는곰돌이 6070844점
3위 슈퍼비트 6026800점
4위 지금감사 5822100점
5위 title: 스텔라쿵 캐리커쳐 #1미스릴 5731046점
6위 불꽃 5701800점
7위 title: 퀀텀아이콘봄이 5088550점
8위 밀키웨이 3047900점
9위 빵상 2975450점
10위 대바기 2728250점